** SPOT 측광이라 ? **
제가 쓰고 있는 fz10과 f1뿐만아니라 fz20등 여러카메라에는 측광모드가
최소2개이상 정도는 있습니다. 과연 그런것이 무엇을 뜻하며 특히나
그 중에서도 우리가 많이 들어보는 spot측광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.
측광이라는것은 한마디로 '계산기'라고 생각하시면 아주 편리합니다. ^^
그렇다면 무엇을 계산해주는것이냐면은요~ 바로 노출입니다 ^^
노출은 빛의 양~ 즉 사진의 밝기~ 어둡거나 밝거나~ 이런걸 계산해서
셔터나 조리개값을 선택하도록 하는겁니다.
사진 결과물이라는것은 결국 빛을 얼마만큼 받아들이냐에 달려있는데요~
그걸 조절하는것은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입니다. 이건 나중에 다시~ ^^
어쨌든간에~ 측광이라는것을 계산기라고 생각을 하시고 읽어주시면
아주 좋습니다... ^^ 그럼~
쉬운 예로~ 풍경 사진을 한번 보겠습니다~^^ 발로 그린정도의 실력이라서
흑.~ 여기서 숫자는 각 녀석들의 밝기값입니다~ 숫자가 높으면 밝은거에요~

보시다시피 평균측광이라는것은 면적대비로 계산을 하는겁니다~
한마디로 자기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겁니다~
그래서 계산을 해보면 카메라는 ' 아하~ 지금 이 풍경은 76의 밝기구나'
라고 생각을 하고 사진을 찍어버리죠~ 뭐 전체적으로 잘 나오겠죠~ ^^
하지만 여기서 SPOT측광을 쓴다면 .. spot <- 작은 점이에요~
전체를 안보고~ 아주 아주 작은 범위만 보려 한다는거죠~
예로~ spot측광으로 하늘에다가 맞췄다 싶으면 이 카메라 녀석은~
'아하 지금 이 풍경은 100의 밝기구나~'라고 생각을 해요.
다른것들은 다 무시하죠~ 워낙 spot이 작은 범위라서요.
또 산에다 spot측광으로 하면 카메라 曰 : '아하 지금 이풍경은 50의
밝기구나'라고 생각을 하고 찍어버려요~
당연히 각자 사진의 밝기는 차이가 있게 되지요~
위에서 보듯이 측광이라는것은 카메라가 어떤 피사체가 어떤밝기를 가지고
있는지를 계산하는것이며 spot이라는것은 계산을 할때에
좁은 영역위주로만 계산을 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~ ^^
이상 아주 가볍게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했구요~ 사실 노출이라는거는
좀더 많은 내용이 있지만 그건 점차적으로 보시면 되고요~
다음에는 그럼 spot을 언제 쓰는지와 노출보정이란 무엇인지~
또 반사율의 개념에 대해서~ 또 한번 돌아오겠습니다...
제가 쓰고 있는 fz10과 f1뿐만아니라 fz20등 여러카메라에는 측광모드가
최소2개이상 정도는 있습니다. 과연 그런것이 무엇을 뜻하며 특히나
그 중에서도 우리가 많이 들어보는 spot측광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.
측광이라는것은 한마디로 '계산기'라고 생각하시면 아주 편리합니다. ^^
그렇다면 무엇을 계산해주는것이냐면은요~ 바로 노출입니다 ^^
노출은 빛의 양~ 즉 사진의 밝기~ 어둡거나 밝거나~ 이런걸 계산해서
셔터나 조리개값을 선택하도록 하는겁니다.
사진 결과물이라는것은 결국 빛을 얼마만큼 받아들이냐에 달려있는데요~
그걸 조절하는것은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입니다. 이건 나중에 다시~ ^^
어쨌든간에~ 측광이라는것을 계산기라고 생각을 하시고 읽어주시면
아주 좋습니다... ^^ 그럼~
쉬운 예로~ 풍경 사진을 한번 보겠습니다~^^ 발로 그린정도의 실력이라서
흑.~ 여기서 숫자는 각 녀석들의 밝기값입니다~ 숫자가 높으면 밝은거에요~

보시다시피 평균측광이라는것은 면적대비로 계산을 하는겁니다~
한마디로 자기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겁니다~
그래서 계산을 해보면 카메라는 ' 아하~ 지금 이 풍경은 76의 밝기구나'
라고 생각을 하고 사진을 찍어버리죠~ 뭐 전체적으로 잘 나오겠죠~ ^^
하지만 여기서 SPOT측광을 쓴다면 .. spot <- 작은 점이에요~
전체를 안보고~ 아주 아주 작은 범위만 보려 한다는거죠~
예로~ spot측광으로 하늘에다가 맞췄다 싶으면 이 카메라 녀석은~
'아하 지금 이 풍경은 100의 밝기구나~'라고 생각을 해요.
다른것들은 다 무시하죠~ 워낙 spot이 작은 범위라서요.
또 산에다 spot측광으로 하면 카메라 曰 : '아하 지금 이풍경은 50의
밝기구나'라고 생각을 하고 찍어버려요~
당연히 각자 사진의 밝기는 차이가 있게 되지요~
위에서 보듯이 측광이라는것은 카메라가 어떤 피사체가 어떤밝기를 가지고
있는지를 계산하는것이며 spot이라는것은 계산을 할때에
좁은 영역위주로만 계산을 하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~ ^^
이상 아주 가볍게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했구요~ 사실 노출이라는거는
좀더 많은 내용이 있지만 그건 점차적으로 보시면 되고요~
다음에는 그럼 spot을 언제 쓰는지와 노출보정이란 무엇인지~
또 반사율의 개념에 대해서~ 또 한번 돌아오겠습니다...
'Article [펌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하고 싶다면 걸읍시다, ‘워킹’하러 갑시다! (0) | 2008.06.10 |
---|---|
T 발음, 이제 원어민 발음으로 티내자! (0) | 2008.06.10 |
나에게 맞는 옷을 찾아라 (0) | 2008.05.28 |
영어 잘하는 ‘척’하려면, 한국식 모음 발음부터 버려라! (0) | 2008.05.28 |
매너가 경쟁력이다 (0) | 2008.05.28 |
조리개값과 셔터스피드의 상관관계 (0) | 2008.05.26 |
성공하는 사람들은 뭔가 다르다! 계획에서 실천까지 관리 노하우 (0) | 2008.03.06 |
관리만 잘 해도 오래 탄다! 봄맞이 자동차 관리요령 (0) | 2008.03.06 |
최고 부자 '빌게이츠'의 진짜 성공비밀 (0) | 2008.01.24 |
가진것에 만족하기 (0) | 2008.01.24 |